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는 환자의 안전과 의료의 질을 평가하는 핵심지표이며 치과에서의 감염관리는 환자, 의료기관 종사자 및 보호자, 내원객 등 병원환경에 노출된 사람들을 보호하는 안전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1). 병원에서는 교차감염, 접촉감염, 비말감염 등 다양한 형태의 감염이 발생되므로 환경감염관리가 요구되는데, 특히 면역력이 저하된 노령인구 증가와 항생제 남용으로 인한 다제내성균 증가는 병원감염 증가를 야기하고 있다2).
의료기관 내 감염 중 특히 슈퍼박테리아로 불리는 다제내성균 감염은 기존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환자에게 치명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슈퍼박테리아로 대표적인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광범위한 병원성 미생물 노출위험성은 진료과정에서 다량의 에어로졸과 분진이 형성되는 치과의료기관에서 높게 나타난다. 치과진료실의 경우 다발생되는 에어로졸 형성 등으로 치과의자 주변 진료대, 스위치, 조명등 손잡이 등의 표면을 각 환자의 진료가 끝난 후에 소독하거나 보호 덮개를 사용하고, 눈에 보이는 오염이 있을 경우 즉시 소독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7). 각종 병원성 미생물로 인한 오염 발생으로 청결한 환경관리 규정을 준수하고 의료장비 및 환경표면은 접촉 정도에 따라 구분하여 소독주기를 결정하며, 눈에 보이는 오염이 있는 경우 즉시 제거해야 한다. 보건복지부는 2014년 ‘치과병원에 대한 인증제’를 시행하여, 의료기관 평가 법제화와 감염관리 기준을 제시8)하였으나, 적용기관이 치과병원에 국한되어 치과의원 감염관리 평가규제는 미흡한 실정이다. 결과적으로 중소형 치과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업무 수행은 기관 경영자의 마인드와 지원이 중요하게 작용되며, 기관 내 감염관리자의 책임과 관리권한 부여를 통해 의료기관 평가 유무와 관계없이 기관의 질적 향상을 이끄는 노력이 요구된다9). 그러므로 치과의료기관은 감염관리자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치과위생사를 지정하여 책임과 관리권한을 부여하고, 감염관리자가 된 치과위생사는 기관에 적합한 감염관리 지침서를 작성하여 의료진들이 지침서에 근거하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지속적인 기관 내 평가를 통해 의료진 스스로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여 질적 진료를 원하는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필요성이 있다.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감염관리 수행자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설문조사결과가 주로 제시되었을 뿐 손과 의료장비 표면 오염에 대한 실태조사는 미비한 실정이다. 감염관리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지식수준, 인식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관의 감염관리 실태를 조사하는 것은 실제적인 감염관리 수행의 문제점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고 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관에 적합한 감염관리 지침서를 제작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의료기관에서 감염관리를 주로 담당하는 치과위생사의 손 위생과 직접, 간접 접촉이 많아 감염확산의 위험이 높은 의료기자재의 표면 오염도를 다재내성균인
본 연구는 건양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IRB no. 2017-054)을 받은 후, 2017년 7월부터 2017년 8월까지 대전광역시 일부 지역에 소재하는 치과의료기관 20개소를 편의표본추출하여 조사하였다. 진료가 시작된 이후 기관에 방문한 후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진료업무를 수행하는 치과위생사의 손 오염을 채취하였으며 사전조사를 통해 오염빈도가 높았던 치과의료장비 7부위의 표면 오염을 각 기관별로 조사하였다. 연구 참여기관은 언제든지 자발적으로 참여를 중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떤 불이익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또한 기관의 감염관리 실태의 문제점으로 인한 기관의 위해성을 차단하기 위해 기관명의 익명성을 유지하고, 결과는 연구 외의 목적으로 활용하지 않을 것을 설명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손과 치과의료장비 표면 오염도 조사를 위해 진료가 시행된 11시∼4시 사이 치과의료기관을 방문한 후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한 기관에서
검사과정은 플레이트를 검사하고자 하는 표면에 10초 동안 가볍게 접촉시킨 후 뚜껑을 잘 닫고 일시, 채취 부위, 일련번호(기관 익명성)를 기록하였으며, 총소요시간은 10분 내외였다. 먼저 진료협조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치과위생사의 손 위생 평가를 위해 핸드 플레이트에 손을 가볍게 10초 동안 접촉시켜 손 오염도를 검사하였고, 그 다음 치과의료장비 표면 오염도 조사를 위해 기관의 안내를 받아 7부위 표면 오염도를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치과의료장비 조사부위 선정은 치과의료기관 3곳의 사전조사를 통해 진료 시 사용도가 높은 영역 중 오염빈도가 높게 나타난 부위로 브래킷 테이블, 조명등 손잡이, 협조자 3-way syringe 손잡이, 타구대, 컴퓨터 마우스, 방사선 디지털 센서, 손거울 손잡이였다. 결과적으로 20개 기관의 치과위생사 손 오염도를 조사한 20개의 플레이트 및 치과의료기관별 7부위 표면 총 140개의 플레이트를 채취하였다. 채취가 끝난 플레이트는 호기 배양기(C-IN incubator; Chang Shin Scientific, Seoul, Korea) 35°C, 24시간 배양을 통해 출현한 군락을 노란색으로 변화되는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ver. 18.0 (IBM 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손 오염도를 평가하는 핸드플레이트 기준에 근거하여 오염집단을 저 1∼9 colony-forming units (CFU), 중 10∼99 CFU, 고 100 이상 CFU 오염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오염집단별 손의 손바닥, 다섯 손가락 각 부위별 오염도를 분석하기 위해 비모수검정 독립 K표본 Kruskal-Wallis 검정하였으며, 치과의료기관 장비의 영역별 표면 오염도를 기술통계하였다. 또한 손 오염도 집단, 손 오염도, 의료장비 표면 오염도에 관한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통계적 유의 검정수준은 0.05로 하였다.
핸드 플레이트 판독기준에 근거하여 손 오염도를 저 1∼9 CFU, 중 10∼99 CFU, 고 100 CFU로 분류한 결과 조사대상자 20명의 손 오염도는 저 9명, 중 7명, 고 4명이었고 Fig. 1과 같다.
Classification of
각 손가락과 손바닥 부분을 구분하여
Mean of
Group | ||||||||||||||
---|---|---|---|---|---|---|---|---|---|---|---|---|---|---|
Thumb finger | Index finger | Middle finger | Ring finger | Little finger | Palm | Total | Thumb finger | Index finger | Middle finger | Ring finger | Little finger | Palm | Total | |
1 | 6.11 | 7.28 | 5.00 | 5.61 | 8.28 | 5.39 | 5.00 | 9.83 | 9.83 | 10.89 | 8.22 | 9.00 | 9.39 | 8.33 |
2 | 11.57 | 10.93 | 13.14 | 12.36 | 8.79 | 12.64 | 13.00 | 14.00 | 12.43 | 12.50 | 13.00 | 11.79 | 10.71 | 12.14 |
3 | 18.50 | 17.00 | 18.25 | 18.25 | 18.50 | 18.25 | 18.50 | 5.88 | 8.63 | 6.13 | 11.25 | 11.63 | 12.63 | 12.50 |
p | 0.001 | 0.013 | <0.001 | 0.001 | 0.003 | 0.001 | <0.001 | 0.068 | 0.522 | 0.194 | 0.248 | 0.546 | 0.652 | 0.331 |
Values are presented microorganism growth plate number (colony-forming units, CFU) as mean.
Data was analysed by nonparametric method-independent K samples test (Kruskal-Wallis test).
20개 치과의료기관에서 각 7부위 표면, 총 140개 로닥플레이트의
Mean of
No. | ||||||||||||||
---|---|---|---|---|---|---|---|---|---|---|---|---|---|---|
Bracket table | 3-way syringe handle | Computer mouse | Radiation digital sensor | Light handle | Hand mirror handle | Cuspidors | Bracket table | 3-way syringe handle | Computer mouse | Radiation digital sensor | Light handle | Hand mirror handle | Cuspidors | |
1 | 0 | 2 | 9 | 5 | 3 | 1 | 0 | 1 | 2 | 5 | 10 | 3 | 2 | 0 |
2 | 2 | 0 | 4 | 2 | 0 | 0 | 0 | 33 | 0 | 2 | 1 | 9 | 10 | 15 |
3 | 2 | 31 | 4 | X | 0 | 5 | 2 | 14 | 70 | 44 | X | 2 | 15 | 1 |
4 | 5 | 6 | 18 | X | 2 | 6 | 4 | 9 | 14 | 7 | X | 5 | 8 | 5 |
5 | 0 | 0 | 0 | 0 | 0 | 1 | 0 | 1 | 0 | 3 | 11 | 2 | 2 | 0 |
6 | 0 | 0 | 1 | 0 | 1 | 0 | 0 | 5 | 18 | 15 | 7 | 3 | 4 | 0 |
7 | 1 | 0 | 0 | 0 | 0 | 3 | 0 | 34 | 44 | 0 | 2 | 12 | 3 | 0 |
8 | 0 | 0 | 0 | X | 0 | 0 | 0 | 0 | 0 | 0 | X | 32 | 2 | 0 |
9 | 0 | 0 | 23 | 0 | 0 | 0 | 0 | 2 | 128 | 0 | 1 | 5 | 2 | 0 |
10 | 0 | 1 | 0 | 3 | 0 | 0 | 0 | 5 | 39 | 4 | 1 | 86 | 11 | 0 |
11 | 0 | 0 | 0 | 0 | 0 | 0 | 6 | 2 | 21 | 2 | 2 | 1 | 0 | 9 |
12 | 3 | 0 | 0 | 0 | 0 | 6 | 1 | 5 | 2 | 0 | 6 | 2 | 0 | 2 |
13 | 0 | 7 | 2 | 0 | 0 | 0 | 0 | 1 | 6 | 1 | 1 | 1 | 15 | 1 |
14 | 0 | 0 | 0 | 0 | 0 | 0 | 0 | 5 | 14 | 17 | 0 | 0 | 0 | 2 |
15 | 0 | 0 | 0 | 0 | 0 | 9 | 0 | 2 | 1 | 33 | 9 | 5 | 0 | 0 |
16 | 0 | 0 | 0 | 0 | 0 | 0 | 0 | 2 | 0 | 31 | 0 | 0 | 9 | 0 |
17 | 0 | 3 | 3 | 0 | 0 | 0 | 0 | 0 | 4 | 3 | 14 | 9 | 0 | 1 |
18 | 0 | 10 | 0 | 0 | 0 | 1 | 0 | 7 | 2 | 2 | 5 | 0 | 7 | 2 |
19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20 | 0 | 36 | 0 | 0 | 0 | 0 | 0 | 1 | 19 | 0 | 1 | 4 | 3 | 0 |
Mean | 0.65 | 4.45 | 3.37 | 0.56 | 0.30 | 1.60 | 0.68 | 6.50 | 19.20 | 8.89 | 3.94 | 9.05 | 4.65 | 2.11 |
Values are presented microorganism growth plate number (colony-forming units, CFU).
손 오염도와 표면 오염도 상관분석 결과 손 오염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The Correlation between Hand and Equipment Surface Contamination
Hand contamination group | |||||
---|---|---|---|---|---|
Hand contamination group | 1 | ||||
0.929** | 1 | ||||
0.325 | 0.388 | 1 | |||
−0.189 | −0.217 | −0.014 | 1 | ||
−0.394 | −0.308 | −0.258 | 0.259 | 1 |
Hand contamination group were identified including
Data was analysed by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p<0.01.
본 연구는 치과의료기관 의료장비 표면 및 치과위생사의 손 오염도 조사를 통해 감염관리 문제점을 인식하고 감염관리 실천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손 오염도 검사결과
본 연구에서 손의 각 부위별
20개 치과의료기관별 의료장비 표면 7부위, 총 140개의 로닥플레이트의
진료환경은 교차 감염의 위험성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그 관리가 중대하며 특히 치과의료기관의 경우 치료 중 발생되는 타액, 혈액의 감염 잠재력을 차단해야 한다20). 표면 감염관리는 접촉 빈도에 따른 소독주기를 결정해야 한다. 구강 내 센서, 브래킷 테이블처럼 교차 감염 위험성이 높다고 인식된 부위뿐만 아니라 접촉에 빈번한 조명등 손잡이, 진료대(countertop), 스위치는 환자 진료 시마다 소독 후 보호 덮개를 사용해야 한다. 표면관리를 위한 소독제의 경우 희석방법, 소독시간, 적합성, 보관방법, 유효기간 등의 권고사항을 준수하고 의료기구별 올바른 소독과 멸균방법을 적용해야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14).
Min 등의 연구에서21) 치과에서 분리된
본 연구에서는 치과의료기관 표면 오염도보다 치과위생사의 손 오염도가 더 높게 조사되었는데, 영상의학과 연구결과에서도 방사선사 손 오염도가 촬영기 오염도보다 더 높게 조사되어, 본 연구와 같이 장비의 감염관리보다 손 위생의 감염관리 수행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23) 가장 기본적이지만 간과되고 있는 손 위생 중요성에 관한 인식 개선과 실천방법을 대학의 감염관리 과정에서 상호 교육 및 평가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습관화시킬 수 있는 교육방안을 제안한다.
기관의 감염예방은 감염관리 지침서 보유, 의료진 관심, 행정적 지원 등 조직관련 요인이 높을수록 감염예방 실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22) 기관경영자의 지원과 관심이 감염예방 실천을 높일 수 있다.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조사결과 감염관리지침 인지는 치과의원 5.9%, 치과병원 17.4%로 낮게 조사되었다8). 치과의료기관에 모든 감염관리 전문 인력이 배치될 수 없겠으나, 중간관리자 역할을 수행하는 치과위생사는 감염관리 업무에 책임감을 갖고 지속적인 감염관리 교육을 통해 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감염관리 지침서를 구비하고 스텝들을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또한 의료기관의 책임자는 감염관리자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기관의 감염관리를 위한 장비 및 시설 구축, 감염관리 정보와 기술 제공, 환자감염관리를 위한 시간 확보 등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뒷받침해야한다24). 2, 3차 의료기관에서는 감염관리위원회를 설치하고 감염관리자가 배치되며, 그 인력으로는 감염관리 전문 간호사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감염관리 전문 간호사는 감시결과 비교, 감염유행조사, 감염관리 전산프로그램과 손 위생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등 다양한 감염관리 전문 업무를 수행하면서 감염관리 체계를 조직화, 정착화 하고 있다. 치과의료기관에도 감염관리자로써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할 인력이 필요하며 치위생 교육기관에서 이와 관련된 교육을 체계화 시킬 필요가 있다25).
본 연구에서는 치과진료환경에서 30여 종의 미생물(bacteria)을 분석한 결과
감염관리는 관리자의 인식으로만 해결될 수는 없다. 의료진 모두와 환자, 기관의 경영자 모두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할 때 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각 기관에 적합한 감염관리 지침 제시, 교육, 평가를 이끄는 감염관리 책임자의 업무를 치과위생사가 소명을 갖고 실천할 수 있도록 전문성을 갖춘 인재 배출이 요구된다.
치과의료기관 의료장비 표면 및 치과위생사 손의